반응형
그린메일(greenmail)은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사들인 후, 그 주식을 원래의 경영진에게 비싼 가격에 되팔아 이익을 얻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적대적 인수"나 "기업의 지배권을 강화하려는" 시도와 비슷하지만, 그린메일은 실제로 인수나 지배권 확보를 목표로 하지 않고, 경영진이나 주요 주주로부터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팔아 차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 그린메일의 과정
대량 매입: 그린메일러(그린메일을 사용하는 사람)는 대상 기업의 주식 일부를 대량으로 매입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기업의 일정 비율의 지분을 보유하게 됩니다.
위협 및 협상: 그린메일러는 자신이 일정 비율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음을 내세워, 기업의 경영권을 위협하거나, 경영진의 변경을 요구하거나, 특정 경영 전략에 대한 압박을 가할 수 있습니다. 그린메일러가 이 과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적대적 인수"를 시도하거나, 경영진에게 자신이 주식을 팔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며 협상하는 것입니다.
고가 매각: 경영진은 기업이 인수되거나 지배권을 잃을 위험을 피하기 위해, 그린메일러에게 일정 가격에 주식을 사도록 제안합니다. 이를 통해 그린메일러는 매입 당시보다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팔고 이익을 얻습니다.
◈ 그린메일의 목적
그린메일의 주요 목적은 기업의 경영권을 직접적으로 인수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 대량 매입을 통해 경영진에게 압박을 가하고, 그 대가로 고가에 주식을 되팔아 차익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그린메일은 종종 단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며, 기업의 전략이나 장기적 발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그린메일의 법적, 윤리적 논란
그린메일은 윤리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영진이나 주주들은 이를 기업의 장기적 안정성을 해치는 행위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린메일러가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지 않고, 단지 기업의 내부 갈등을 유발하며 이익을 얻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린메일러가 합법적으로 주식을 매입하고 판매하는 방법을 사용했다면, 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린메일의 주요 사례
1. T. Boone Pickens와 Mesa Petroleum (1980년대)
T. Boone Pickens는 미국의 유명한 투자자이자 기업 인수자입니다. 1980년대 초반, 그는 Mesa Petroleum의 지분을 대량으로 사들였습니다. Pickens는 Mesa의 경영진에게 자신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가 보유한 주식을 팔고 회사를 상대로 공격적인 인수를 시도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결국, Mesa의 경영진은 Pickens에게 그의 주식을 비싼 가격에 사도록 제안했고, Pickens는 주식을 팔고 이익을 얻었습니다. 이 사건은 그린메일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
2. Vornado Realty Trust와 (1990년대)
Vornado Realty Trust는 1990년대 중반, Avenue Stores라는 유통 회사를 대상으로 그린메일 전략을 사용한 사례로 유명합니다. Vornado는 Avenue Stores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한 뒤, 해당 회사의 경영진에게 압박을 가하고, 회사의 경영 전략에 대한 요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Vornado는 Avenue Stores에게 주식을 되팔면서 상당한 이익을 얻었습니다. 이 사례는 그린메일 전략이 상장된 기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최신 사례
1. Elliott Management와 AT&T (2021년)
Elliott Management는 유명한 헤지펀드로, 2021년에 AT&T와 관련된 그린메일 사례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Elliott Management는 AT&T의 주식 일부를 대량으로 매입한 후, AT&T 경영진에게 회사 전략을 개선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특히, AT&T의 회사의 구조조정과 전략적인 자산 매각을 통해 주가를 높일 것을 촉구했습니다. Elliott는 자신이 주식을 팔면 회사에 큰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결국 AT&T는 일부 요구를 수용하고, 그린메일을 통해 얻은 이익을 실현하게 되었습니다.
2. Starboard Value와 Darden Restaurants (2014년)
Starboard Value는 Darden Restaurants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한 후, 경영 전략에 대한 압박을 가한 사례가 있습니다. Starboard는 Darden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Olive Garden 브랜드의 개선 등을 제시하면서, Darden에 요구를 전달했습니다. 결국 Darden은 일부 경영 변화와 함께, Starboard에게 그가 요구한 대가로 주식을 비싼 가격에 팔았습니다. 이 역시 그린메일의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 그린메일의 규제 및 대응
그린메일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장기적 발전에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국가나 기업들은 그린메일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린메일 방지 조항(greenmail defense clause)을 기업의 정관에 포함시켜,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한 사람에게 특정 조건 하에 주식을 되사는 권리를 제한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은 독점 규제를 통해, 경영권을 보호하고, 불법적인 그린메일을 방지하는 법적 수단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 맺음말
그린메일은 기업의 지배권을 위협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경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린메일은 대개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한 후 경영진을 압박해 주식을 고가에 되팔고 이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그린메일의 사례는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이를 규제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왝더독 뜻 과 최신 사례(WAG-the-Dog) (2) | 2024.12.21 |
---|---|
스핀오프 뜻 과 최신 사례(Spinoff) (3) | 2024.12.21 |
암호화폐공개 (ICO, Initial Coin Offering) (1) | 2024.12.21 |
스프레드 (Spread) 뜻과 최신 사례 (0) | 2024.12.20 |
볼커룰 (Volcker Rule) 뜻과 개념 완벽 정리!(최신 사례 포함)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