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파이(DeFi)는 "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중앙집중형 금융기관 없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디파이는 기존의 은행이나 금융 시스템을 대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대출, 예금, 거래, 보험, 자산 관리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디파이와 관련된 코인들은 대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s)을 사용하여 자동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더리움 (Ethereum, ETH)
디파이의 대부분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합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며, 많은 디파이 프로젝트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합니다.
■ 유니스왑 (Uniswap, UNI)
유니스왑은 분산형 거래소(DEX)로,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토큰 간 거래를 지원합니다. UNI는 유니스왑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플랫폼의 운영에 참여하고, 수수료를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 Aave (AAVE)
Aave는 탈중앙화된 대출 및 차입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예치하고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AVE는 이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컴파운드 (Compound, COMP)
컴파운드는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예치하고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디파이 프로토콜입니다. COMP는 컴파운드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플랫폼의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스시스왑 (SushiSwap, SUSHI)
스시스왑은 유니스왑의 포크로, 탈중앙화된 거래소로 토큰을 거래하고 유동성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SUSHI는 스시스왑의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이 외에도 디파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많은 프로젝트와 코인들이 있으며, 그들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뜻과 전망(Bitcoin, BTC), 반감기 (3) | 2024.12.21 |
---|---|
비트코인(Bitcoin) 전망 (2) | 2024.12.19 |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Non-Fungible Token)의 정의와 시장 전망 (1) | 2024.12.01 |
이더리움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1) | 2024.12.01 |
이더리움의 지분증명으로 변환 후 장기적인 전망 (1)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