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DO의 기본 구조 및 유형
기초자산: 기업 대출(레버리지론), 주택담보대출(MBS), 회사채(CBO), 신용파생상품(CDOs) 등이 포함됩니다.
트랜치 구조:
시니어 트랜치: 가장 안전하며 낮은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메자닌 트랜치: 중간 위험과 수익률을 가집니다.
이쿼티 트랜치: 가장 높은 위험과 잠재적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유형:
CLO (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 기업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합니다.
CBO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합니다.
CSO (Collateralized Synthetic Obligation): 신용파생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합니다.
SFCDO (Structured Finance CDO): 다양한 구조화 금융 자산을 포함합니다.
📈 최근 글로벌 CDO 시장 동향
시장 성장: 2023년 CDO 시장 규모는 약 275억 달러였으며,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1.6%를 기록하며 80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CLO 발행 사례:
Deerpath Capital: 2023년 12월, Deerpath CLO 2023-2를 통해 3억 5,365만 달러 규모의 CLO를 발행하였습니다.
Monroe Capital: 2024년 7월, Monroe Capital MML CLO XVI를 통해 5억 6,180만 달러 규모의 CLO를 발행하였습니다.
🇰🇷 한국 내 CDO 활용 사례
KB금융그룹: 2023년 5,000억 원 규모의 CDO를 발행하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유동성을 지원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단기 브릿지 대출을 장기 대출로 차환하여 고비용 구조를 개선하였습니다.
⚠️ CDO의 위험 요소
신용 위험: 기초자산의 부실화로 인한 손실 위험이 존재합니다.
유동성 위험: 시장 상황에 따라 거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복잡성: 구조가 복잡하여 위험 평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금리 상승 영향: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대출 상환 부담이 증가하여 부도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결론
CDO는 다양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투자자에게 맞춤형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구조화 금융 상품입니다. 글로벌 및 국내 시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CLO는 기업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용 위험, 유동성 위험 등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하므로 투자 시 신중한 분석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