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차등의결권 제도 뜻과 최신 사례(주식의 차등의결권 제도)

by NLP 실천하는 사람 2024. 12. 21.
반응형

차등의결권제도(주식의 차등의결권 제도)란?


차등의결권제도란 주식의 종류에 따라 의결권의 차이를 두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즉, 주식 한 주가 가진 의결권의 수가 동일하지 않고, 일부 주식은 의결권을 여러 번 행사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주식은 의결권이 적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 제도는 주주가 소유한 주식의 종류에 따라 경영권에 대한 영향력을 달리하는 방식입니다.

다수 의결권을 가진 주식: 일부 주식은 한 주당 여러 표의 의결권을 부여받습니다. 예를 들어, 'A주'는 한 주당 10표, 'B주'는 한 주당 1표와 같은 차이를 둘 수 있습니다.

무의결권 주식: 일부 주식은 의결권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주식은 배당만 받을 수 있으며, 주주총회 등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소수 의결권 주식: 일부 주식은 의결권을 가지되, 그 수가 적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주당 0.5표만 행사할 수 있는 주식입니다.

■ 차등의결권제도의 목적


차등의결권제도는 주로 창업자나 주요 투자자들이 기업 경영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경영권 보호: 창업자나 주요 인물들이 기업의 경영권을 보호하고, 외부의 압력이나 적대적 인수합병(M&A)으로부터 회사를 지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독립적인 경영: 외부 주주들의 단기적 이익 추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합니다.

경영 안정성: 외부에서 유입된 주주들이 기업 경영에 불필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창업자의 비전이나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수 있게 돕습니다.

■ 차등의결권제도의 장점과 단점


◇ 장점

경영의 안정성: 창업자나 주요 주주가 의결권을 많이 보유함으로써, 외부의 불필요한 간섭 없이 장기적인 경영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주주 보호: 일부 투자자들이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며 회사의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적대적 인수 방지: 차등의결권제도를 통해 경영권을 보호하면서 기업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주주의 불만: 의결권이 적은 주식의 주주들은 회사 경영에 대한 영향력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소수 주주의 권리 침해: 주식의 의결권 차이가 지나치게 크면, 소수 주주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회사의 투명성과 공정성이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

경영권 남용 우려: 경영진이 과도한 권한을 가지게 되어, 이를 남용할 위험이 있습니다.

차등의결권제도의 최신 사례

1. 구글(Alphabet)

구글(현재 알파벳)은 차등의결권제도의 대표적인 사례로, 주식의 종류에 따라 의결권이 달라집니다. 구글은 Class A, Class B, Class C라는 세 가지 종류의 주식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Class A 주식은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Class B 주식은 1주당 10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이 주식은 주로 창업자 및 초기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Class C 주식은 의결권이 없습니다. 주로 상장된 주식으로, 공개된 시장에서 거래됩니다.

이 구조는 구글의 창업자들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회사의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차등의결권제도를 통해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회사의 경영 안정성을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페이스북(현 메타)

페이스북도 비슷한 방식으로 차등의결권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Class A와 Class B 주식을 구분하여 발행하였습니다.

Class A 주식은 상장된 주식으로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Class B 주식은 창업자 및 초기 투자자들에게 주어지며, 1주당 10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이 제도는 마크 주커버그와 같은 창업자들이 페이스북의 경영권을 계속해서 장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페이스북은 이 구조를 통해 독립적인 경영과 적대적 인수합병 방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우버(Uber)

우버는 2019년에 상장하면서 차등의결권제도를 채택했습니다. 우버는 Class A, Class B 주식을 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영권을 보호하고 창업자들의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Class A 주식은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Class B 주식은 1주당 10개의 의결권을 가집니다.

이 제도는 우버의 창업자들인 트래비스 칼라닉(Travis Kalanick) 등에게 경영권을 계속해서 보유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외부 주주들의 압력으로부터 회사 경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4. 한국의 사례: 카카오

카카오는 2020년에 상장하면서 차등의결권제도를 도입하여 경영권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보통주와 1주당 10개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특별한 주식을 구분하여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카카오는 창업자와 주요 경영진이 경영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맺음말

차등의결권제도는 창업자나 주요 주주들이 경영권을 유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기술 기업이나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으며, 기업의 독립성 및 장기적인 비전 추구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이 제도가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소수 주주의 권리가 침해되거나 경영권 남용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정성과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