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청동기시대란?
- 정의: 구리(Cu)와 주석(Sn)을 섞은 합금인 청동을 이용해 도구, 무기, 제사용품 등을 만들기 시작한 시대.
- 시기:
- 서아시아: 약 기원전 3300년경 (메소포타미아)
- 중국: 약 기원전 2000년경
- 한반도: 약 기원전 1500~1000년경
🔍 청동의 특징
특징설명
강도와 내구성 | 순수 구리보다 단단하고 잘 닳지 않음 |
주조 가능성 | 녹는점이 낮아 주형(틀)에 부어 정교한 형태로 만들 수 있음 |
광택과 아름다움 | 장식품, 제사용 도구로도 활용됨 |
희귀성과 권위성 | 청동은 귀했기 때문에 지배층만 소유 가능 |
🔧 주요 도구와 유물
도구/무기용도
청동검 | 제사·의식용(실전보다는 상징적) |
청동창, 도끼 | 무기 또는 사냥용 |
청동 거울, 방울 | 권력의 상징, 제사용 |
농기구(주로 석제) | 청동기시대에도 농기구는 주로 돌로 만듦 |
※ 농기구는 청동으로 만들기엔 너무 비싸고 무거웠기 때문에, 일반 농사에는 석기 농기구가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 청동기시대의 사회 변화
1. 농업의 발달
- 벼농사 본격화(특히 한반도 남부)
- 정착 생활 → 마을 형성
2. 계층 분화
- 청동은 생산하기 어렵고 귀해서 지배층만 소유할 수 있었음
- 권력을 가진 자는 청동 무기와 의식용 청동기를 통해 권위를 상징함
3. 제사와 종교 발달
- 하늘, 태양 등에 제사 지내는 문화 형성
- 청동 거울, 방울, 제기 등 의식 도구 등장
4. 무덤 양식의 변화
- 지배층은 돌무지무덤(고인돌) 등 크고 정교한 무덤을 조성
- 이는 권력과 계급의 상징이기도 함
🌍 지역별 청동기 문화
메소포타미아 (티그리스-유프라테스 문명)
- 세계 최초의 청동기 문명
- 기원전 3300년경 우르, 우루크 등 도시 국가 등장
이집트
- 파라오 중심의 중앙집권 사회
- 청동 무기로 주변 지역 정복
중국
- 하(夏), 상(商) 왕조에서 청동기 전성기
- 정교한 청동 제기, 무기 출토
한반도
- 고조선 시기(기원전 2333년 전후) 청동기 문화 등장
- 비파형 동검, 거푸집, 고인돌, 청동 방울 등 유물
- 벼농사 발달, 권력 집중화
📜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 대표 유물:
- 비파형 동검: 한반도 청동기의 대표 무기. 실제 전투용보다는 권력 상징.
- 고인돌: 세계 최대 규모 분포. 지배층 무덤.
- 청동 거울, 방울: 제사 도구
- 간석기: 청동기 시대에도 실용 도구는 여전히 돌로 제작
- 사회 구조:
- 부족 국가 형성기: 여러 마을이 하나의 세력으로 묶이기 시작
- 군장 사회: 지도자(군장)가 무기·청동기를 독점
🧩 청동기 → 철기 전환
- 청동은 제작이 복잡하고 재료가 희귀했지만,
- 철이 보급되며 농기구와 무기의 실용성이 급격히 향상
- 철기시대로 자연스럽게 이행



✅ 정리
구분청동기시대
시기 | 기원전 3300년경 ~ 철기 전까지 |
주요 금속 | 청동 (구리 + 주석) |
도구 종류 | 무기, 장식품, 제사용품 (농기구는 여전히 석기 위주) |
사회 변화 | 계층 분화, 권력 집중, 정착 농업 발전 |
대표 유물 | 비파형 동검, 고인돌, 청동 방울, 제기 등 |
청동기시대는 단순한 금속 도구 사용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인류가 공동체를 형성하고 계급을 나누며 국가로 발전해가는 핵심적인 시기입니다.
반응형